전체 글55 [Swift] 객체 구현시에 class와 struct 어떤게 맞을까 ?? 🤔 제가 class와 struct을 정할 때 생각하는 기준들을 나열해보고자 합니다. 어떤 객체를 만들 때 그 객체를 class로 만들지, struct으로 만들지에 대한 고민이 늘 항상 개발하면서 있었던 것 같아 그 기준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는 우선순위대로 나열한 것이 아닌 모든 사항이 고려된 후에 결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첫번째 고려할 것 : 목적에 필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 class와 struct의 차이점으로 상속의 가능 여부가 있습니다. class는 상속이 가능하지만, struct은 상속이 불가능합니다. 만약 구현할 때 필요한 것이 상속이라면 class를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Cocoa Touch Framework에 있는 UIKit class를 상속받을 필요가 있다면, .. 2023. 10. 24. [OS] OS Overview (CPU가상화, 메모리 가상화, Concurrency, Persistence) Virtualizing CPU 오늘날 하나의 컴퓨터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은 매우 많습니다. 지금 당장 이 글을 쓰면서 제 노트북에는 Xcode, Chrome, Notion, Discord, 카카오톡 등등 정말 수 많은 프로그램들이 실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프로세스들을 실행시킬 CPU는 물리적으로 하나입니다. 정말 좋은 컴퓨터들이 많으면 CPU가 1,2개 더 있을 수 있지만 보통 1개입니다. 보통 물리적인 CPU는 한개지만, 멀티 코어라는 개념을 통해서 멀티스레딩의 효용을 우리는 겪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오늘날 우리가 실행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에 비해 CPU의 개수가 부족한 것은 사실입니다. 이것이 "CPU의 가상화"를 하게된 계기입니다. 마치 CPU가 여러개 있어서 여러개 프로그램들이 동시에 실행되.. 2023. 10. 23. Coordinator Pattern 도입 이유와 실제 도입기 (ft. 객체들의 책임과 unit test) https://github.com/Team-LionHeart/LionHeart-iOS GitHub - Team-LionHeart/LionHeart-iOS: 라이옹 🦁 라이옹 🦁. Contribute to Team-LionHeart/LionHeart-iO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Coordinator Pattern을 공부를 시작하기로 마음 먹은 횟수만 치면 이번이 두번째입니다. 처음 마음을 먹고 공부를 했었을 때는 장렬하게 실패하고, 드디어 두번째 마음을 먹고 난 후에서야 실제로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아티클까지 남길 수 있을 정도가 되었습니다. Coordinator Pattern은 유독 공부하기가 까다로웠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2023. 10. 21. [Reactive Programming] Functional Reactive Programming이란 ? 왜쓸까?? RxSwift, Combine를 시작하기 앞서 RxSwift라고 적었던 모든 단어들이 Combine으로 대체해서 보아도 되기 때문에 제목을 RxSwift보다 "Reactive Programming"으로 좀 더 제네릭한 이름으로 수정했습니다. RxSwift를 공부하기에 앞서서 우선적으로 살펴봐야할 개념들이 있습니다. 그것들을 살펴보기 위해서 RxSwift는 자기 자신을 뭐라고 부르는지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ReactiveX/RxSwift: Reactive Programming in Swift Reactive Programming이라고 합니다. Reactive라는 키워드를 알아봐야할 필요성이 있어보입니다. 그리고 구글링을 하다보면 RxSwift를 얘기하면서 Reactive programming 앞에 곧잘 붙.. 2023. 10. 5. 이전 1 ··· 3 4 5 6 7 8 9 ··· 14 다음